, .

, .

공헌이익은 수익성 관리의 출발점입니다.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매출 중심 의사결정이 오히려 손실을 만듭니다.

공헌이익은 수익성 관리의 출발점입니다.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매출 중심 의사결정이 오히려 손실을 만듭니다.

2025년 10월 27일

2025년 10월 27일

|

2

min read

min read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손익착각에 빠집니다. 대표 이미지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손익착각에 빠집니다. 대표 이미지

이전에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에 대해 다룬 적이 있습니다.


🗃️ 참고할 만한 콘텐츠: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의미와 계산법 100% 이해하기


공헌이익은 단순히 ‘이익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을 넘어 ‘기업이 진짜로 성장할 수 있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출 중심 경영의 함정

실제로 많은 기업이 회계상으로는 흑자를 기록하지만, 정작 자금은 부족하고 흑자의 폭이 점점 줄어드는 등 불안정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착시현상의 원인은 대개 전체 손익만 보고 ‘무엇이 남는 장사인지’를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헌이익은 산업과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 회사의 성장의 방향성이 되는 중요한 지표로


※ 공헌이익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

  • 어떤 제품·서비스가 실제로 회사의 이익에 기여하는지,

  • 가격 전략이나 판촉 활동이 수익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 한정된 자원을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이 모든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공헌이익을 관리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공헌이익이란 무엇인가

공헌이익의 기본 구조

공헌이익 = 매출 - 변동비

공헌이익은 고정비 충당과 이익 창출에 기여하는 실질적 기여분을 뜻합니다.

👉 매출총이익과 달리, 공헌이익은 영업이익을 내기 위해 고정비를 얼마나 회수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Case Study: 팔수록 적자가 쌓인 제조업체 M사


제조업체 M사는 최근 판매량이 빠르게 늘고 있는 제품 A를 ‘주력 상품’으로 삼았습니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시장 반응이 좋았고, “많이 팔면 회사도 성장한다”는 판단 아래 생산량 확대와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와 달랐습니다.

  • 원자재 단가가 오르면서 변동비 부담이 급격히 늘었고,

  • 외주가공비와 노무비도 증가해 매출총이익은 유지됐지만 공헌이익은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 결국 팔수록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가 형성됐고, 공헌이익률이 높은 다른 제품군은 소외된 채 회사 전체 손익이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 M사 현황 예시

제품

매출

변동비

고정비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결과

A (주력)

100

80

50

20

20%

팔수록 손해

B (비주력)

60

15

50

45

75%

진짜 수익원


A제품이 팔수록 손해인 이유는 공헌이익으로 고정비 50을 메우지 못하므로 판매 1건당 30의 손실이 누적됩니다.

반면 B 제품은 고정비 50 중 대부분을 단일 제품으로 커버할 수 있어, 판매가 늘면 빠르게 영업이익 전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경영진은 “매출 중심”의 판단으로 A 제품 생산을 확대했지만, 공헌이익률이 낮은 제품을 주력으로 삼는 바람에 팔수록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를 스스로 만든 셈입니다.


진단 & 해결: 공헌이익 계산 부재가 만든 문제와 체크리스트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제조업체 M사와 같은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이런 문제를 막고 싶다면, 아래의 체크 리스트를 참고 하세요.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

발생 문제

점검/해결 방법 (체크리스트)

매출 중심 의사결정
판매량이 많다는 이유로 특정 제품을 주력으로 삼음 → 실제 수익 기여도가 낮음

제품별 공헌이익률 관리
매출총이익률이 아닌 공헌이익률을 월 단위로 추적

비효율적 자원 배분
팔수록 손해 나는 제품에 자원 집중, 공헌이익률 높은 제품군은 소외

제품별 변동비 구조 파악
원자재·노무·외주비를 변동비/고정비로 구분해 관리

현금흐름 악화
매출은 늘어도 변동비·판촉비 부담이 커져 자금 소진 가속화

BEP(손익분기점) 계산
공헌이익 기준 BEP를 산출해 생산·판매 전략 점검

BEP 왜곡
정확한 공헌이익 계산이 없어 경영 판단이 잘못됨

가격·프로모션 효과 분석
광고비 증액 등이 공헌이익에 미치는 영향 시뮬레이션

엑셀 수작업 한계
ERP 데이터에서 공헌이익 구조를 즉시 파악 어려움

ERP 기반 자동화 여부
수작업 대신 ERP 데이터에서 자동 리포트 확인


👉 공헌이익을 놓치면 매출 성장도 착각이 될 수 있습니다. 수익성을 지키는 첫걸음은 정확한 계산과 체계적인 점검입니다.


파이넥스, CBOOK을 활용한 공헌이익 구조분석

공헌이익 구조를 정교하게 분석하려면 ERP와 FP&A 데이터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 CBOOK ERP는 생산대장 기반의 원가계산을 자동화하여

    제품별 변동비(재료비, 외주가공비, 노무비 등)를 실시간으로 집계합니다.

  • 파이넥스(finex)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사업부별 공헌이익률, 손익분기점, KPI 예산 달성률을 자동 분석하고 시각화합니다.


결과적으로 기업은 ‘얼마나 팔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얼마나 팔아야 이익이 나는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공헌이익을 관리하지 않으면 매출 성장은 착각일 뿐입니다. 하지만 공헌이익을 기반으로 할 때, 비로소 성장의 방향과 수익성 방어가 가능합니다. 공헌이익 분석을 통해 팔수록 손해 나는 제품을 조기에 식별하고, 수익성 높은 제품에 자원을 집중하세요.


지금 바로 파이넥스와 CBOOK으로 ‘팔수록 이익 나는 구조’를 설계해보세요.

이전에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에 대해 다룬 적이 있습니다.


🗃️ 참고할 만한 콘텐츠: 공헌이익(Contribution Margin) 의미와 계산법 100% 이해하기


공헌이익은 단순히 ‘이익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을 넘어 ‘기업이 진짜로 성장할 수 있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출 중심 경영의 함정

실제로 많은 기업이 회계상으로는 흑자를 기록하지만, 정작 자금은 부족하고 흑자의 폭이 점점 줄어드는 등 불안정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착시현상의 원인은 대개 전체 손익만 보고 ‘무엇이 남는 장사인지’를 구분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공헌이익은 산업과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 회사의 성장의 방향성이 되는 중요한 지표로


※ 공헌이익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

  • 어떤 제품·서비스가 실제로 회사의 이익에 기여하는지,

  • 가격 전략이나 판촉 활동이 수익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 한정된 자원을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이 모든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공헌이익을 관리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공헌이익이란 무엇인가

공헌이익의 기본 구조

공헌이익 = 매출 - 변동비

공헌이익은 고정비 충당과 이익 창출에 기여하는 실질적 기여분을 뜻합니다.

👉 매출총이익과 달리, 공헌이익은 영업이익을 내기 위해 고정비를 얼마나 회수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Case Study: 팔수록 적자가 쌓인 제조업체 M사


제조업체 M사는 최근 판매량이 빠르게 늘고 있는 제품 A를 ‘주력 상품’으로 삼았습니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시장 반응이 좋았고, “많이 팔면 회사도 성장한다”는 판단 아래 생산량 확대와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기대와 달랐습니다.

  • 원자재 단가가 오르면서 변동비 부담이 급격히 늘었고,

  • 외주가공비와 노무비도 증가해 매출총이익은 유지됐지만 공헌이익은 급격히 악화되었습니다.

  • 결국 팔수록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가 형성됐고, 공헌이익률이 높은 다른 제품군은 소외된 채 회사 전체 손익이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 M사 현황 예시

제품

매출

변동비

고정비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결과

A (주력)

100

80

50

20

20%

팔수록 손해

B (비주력)

60

15

50

45

75%

진짜 수익원


A제품이 팔수록 손해인 이유는 공헌이익으로 고정비 50을 메우지 못하므로 판매 1건당 30의 손실이 누적됩니다.

반면 B 제품은 고정비 50 중 대부분을 단일 제품으로 커버할 수 있어, 판매가 늘면 빠르게 영업이익 전환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경영진은 “매출 중심”의 판단으로 A 제품 생산을 확대했지만, 공헌이익률이 낮은 제품을 주력으로 삼는 바람에 팔수록 손실이 누적되는 구조를 스스로 만든 셈입니다.


진단 & 해결: 공헌이익 계산 부재가 만든 문제와 체크리스트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으면, 제조업체 M사와 같은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이런 문제를 막고 싶다면, 아래의 체크 리스트를 참고 하세요.


*공헌이익을 계산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

발생 문제

점검/해결 방법 (체크리스트)

매출 중심 의사결정
판매량이 많다는 이유로 특정 제품을 주력으로 삼음 → 실제 수익 기여도가 낮음

제품별 공헌이익률 관리
매출총이익률이 아닌 공헌이익률을 월 단위로 추적

비효율적 자원 배분
팔수록 손해 나는 제품에 자원 집중, 공헌이익률 높은 제품군은 소외

제품별 변동비 구조 파악
원자재·노무·외주비를 변동비/고정비로 구분해 관리

현금흐름 악화
매출은 늘어도 변동비·판촉비 부담이 커져 자금 소진 가속화

BEP(손익분기점) 계산
공헌이익 기준 BEP를 산출해 생산·판매 전략 점검

BEP 왜곡
정확한 공헌이익 계산이 없어 경영 판단이 잘못됨

가격·프로모션 효과 분석
광고비 증액 등이 공헌이익에 미치는 영향 시뮬레이션

엑셀 수작업 한계
ERP 데이터에서 공헌이익 구조를 즉시 파악 어려움

ERP 기반 자동화 여부
수작업 대신 ERP 데이터에서 자동 리포트 확인


👉 공헌이익을 놓치면 매출 성장도 착각이 될 수 있습니다. 수익성을 지키는 첫걸음은 정확한 계산과 체계적인 점검입니다.


파이넥스, CBOOK을 활용한 공헌이익 구조분석

공헌이익 구조를 정교하게 분석하려면 ERP와 FP&A 데이터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 CBOOK ERP는 생산대장 기반의 원가계산을 자동화하여

    제품별 변동비(재료비, 외주가공비, 노무비 등)를 실시간으로 집계합니다.

  • 파이넥스(finex)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사업부별 공헌이익률, 손익분기점, KPI 예산 달성률을 자동 분석하고 시각화합니다.


결과적으로 기업은 ‘얼마나 팔았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얼마나 팔아야 이익이 나는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공헌이익을 관리하지 않으면 매출 성장은 착각일 뿐입니다. 하지만 공헌이익을 기반으로 할 때, 비로소 성장의 방향과 수익성 방어가 가능합니다. 공헌이익 분석을 통해 팔수록 손해 나는 제품을 조기에 식별하고, 수익성 높은 제품에 자원을 집중하세요.


지금 바로 파이넥스와 CBOOK으로 ‘팔수록 이익 나는 구조’를 설계해보세요.

finex 아티클 구독하기

엄선하여 큐레이팅한 다양한 재무관리 아티클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1000+ others subscribed

SNS 공유하기

SNS 공유하기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1000+ others subscribed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사용하시는 이메일 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picture for subscribing artivle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사용하시는 이메일 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picture for subscribing artivle
finex logo

Financial Data Empowering Every Business Stakeholder

아티클 구독 이메일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상호명 아이씨 주식회사
사업자등록번호 331-81-02537
대표자명 이봄
이메일 ask@aicy.ai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2-성남분당A-1007
사업장주소 서울 강남구 역삼동 827-26, 4층
전화번호 02-575-8825

finex© 2025. Designed by AICY Corp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