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불확실성, 상호관세에 대비하는 재무(FP&A)팀의 체크리스트
커지는 불확실성, 상호관세에 대비하는 재무(FP&A)팀의 체크리스트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우리 회사 재무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FP&A팀이 놓치기 쉬운 리스크와 대응 항목을 정리했습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 우리 회사 재무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FP&A팀이 놓치기 쉬운 리스크와 대응 항목을 정리했습니다.
2025년 4월 24일
2025년 4월 24일
|
2
min read
min re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전 세계를 관통하는 잠재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단순히 통상 이슈를 넘어 기업의 재무 계획 전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보호무역 주의의 대두에 따른 공급망 경색 등은 이미 눈앞에 다가온 위험이며, 90일 유예된 상호관세가 현실화된다면, 관세·환율·원자재·물류비용 전반에서 급격한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제조업과 수출의 비중이 높은 아시아 전반에는 더 큰 경제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FP&A를 수행하는 재무팀이라면, 이러한 이슈는 그냥 넘겨 보낼 수 없을 텐데요. 외부 환경 리스크에 대비해 재무팀이 체크해야 할 항목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상호관세 정책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항목들
상호관세는 '관세 리스크'만으로도 부담이 되지만, 단순히 '세금'을 더 부과하는 문제로만 끝나지 않습니다. 관세 상승으로 인해 유통과 공급망의 경로 변경으로 인한 다양한 가격 상승 요인, 재고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얽혀있어 기업의 실적과 수익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아래 업종에 해당한다면, 당면한 문제에 대비해야 하는데요.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제조업
해외 부품/설비 조달 비중이 높은 전기전자·자동차 부품 업종
물류 의존도가 높은 소비재 및 유통 산업
아래 리스크로 인해 생산과 판매, 모두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상호관세 정책에 영향을 받는 항목과 실제 사례
리스크 항목 | 설명 | 사례 | 출처 |
---|---|---|---|
관세비용 증가 | 수입 원자재·부품 단가 상승 →매출총이익률 하락 | 2025년 4월, 미국이 인도·베트남산 일부 전자제품에 최대 46% 관세 부과 예고. Apple은 미국 내 관세 회피 위해 인도 생산 iPhone 조기 출하 시도. | |
환율 리스크 |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원자재 원가 상승 or 제품 수출 단가 하락→ 수익 예측에 불확실성 증가 | 2023년 3분기, 삼성전자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반도체 부문 수익성 하락을 실적 발표에서 명시. 원화 강세로 인해 해외 매출의 환산 손실 발생. | The Economic Times, Samsung says Q3 operating profits soar to $6.6 bn, but misses forecast |
원자재 가격 변동 | 보호무역 → 공급국 축소 → 희귀 금속/소재 가격 급등 | 2023~2024년, 리튬 수요 급증(27%↑) + 공급 병목 → 가격 급등락 반복. 주요 배터리 기업들 원재료 조달선 다변화 시도 중. | |
물류비용 증가 | 관세 회피를 위한 우회 경로 확보 → 운송비 증가 | 미중 무역분쟁 이후, 중국 → 베트남/멕시코 생산지 이동 증가. 일부 기업은 관세 우회 목적으로 수출 경로 우회 | |
과잉재고 리스크 | 리스크 선제 대응 차원의 조기조달 → 재고 회전율 하락 | 2023년,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부품 선조달 확산 → 장비 시장 수요보다 부품 재고가 더 빠르게 쌓이는 이례적 현상 발생. 수급 흐름 왜곡 사례로 주목. | YOLE Group, Semiconductor subsystems: the market decouples from equipment on inventory backlog |
2. FP&A 관점에서 재무팀이 준비해야 할 재무 대응 항목
실제 상호관세에 대한 리스크는 정치적, 경제적 역학 관계가 얽혀있어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리스크를 예측하기 어렵더라도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시나리오와 수치를 준비하는 것이 재무팀의 역할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시나리오 예시: 환율·관세 동시 상승 시
가정 조건 | Worst Case 비용 영향 |
---|---|
|
|
해당 시나리오는 실제로 미국이 제시했던 관세율과 최근 원화 가치의 변동을 보면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기도 합니다. 재무팀은 이런 수치적 시나리오를 통해 자금 계획 수립, 투자 조정, 리스크 커버리지 범위 설정이 필요하며, 실제 대응을 위한 핵심 준비 항목은 좀 더 복잡합니다.
*재무 리스크 대응을 위한 핵심 준비 항목 (실행안)
준비 항목 | 실무 설명 | 연결 전략 |
---|---|---|
시나리오 손익 예측 | 환율/관세 변화 → Best/Base/Worst 구분 | 제품 원가율, 판관비율 등의 재계산 |
고정비/변동비 민감도 분석 | 비용구조별 손익 영향도 파악 | 원가 구조 리밸런싱 |
현금흐름 시나리오별 리프레시 | 단기 유동성 확보 및 자금 계획 | ERP 연동형 Cash Flow 예측 |
KPI 리밸런싱 | ROIC → EBITDA Margin / 부채비율 중심으로 전환 | 목표 관리 방식 수정 |
공급망 변경 손익 영향 분석 | 지역 전환 시 납기/품질/비용 분석 | 재무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결정 |
3. 상호관세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해서 우리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아래는 재무팀이 놓치기 쉬운 핵심 점검 항목입니다. 커지는 불확실성 속에서는 놓치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체크리스트
✅ 최근 관세/환율/원자재 가격 동향 실시간 모니터링 중인가?
✅ 시나리오별 손익 추정을 3단계로 구성해 본 적이 있는가?
✅ 고정비/변동비 구조에 따른 수익성 민감도를 분석했는가?
✅ 현금흐름 예측은 최근 외부 변수(환율/물류비) 반영되어 있는가?
✅ KPI는 성장 중심에서 안정성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가?
✅ 공급망 변경 시 발생 가능한 손익 영향(원가, 리드타임, 납기)을 시뮬레이션했는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잠재적 리크스"지만, 어느 쪽으로 갑자기 변할지 모르는 "거대 리스크"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든 리스크에 완벽히 대응할 수는 없지만, 예측이 가능한 시나리오에는 대비하고, 시물레이션을 진행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외부 변수에 따른 재무 예측이 필요하다면, fp&a의 실현을 위한 솔루션, 파이넥스를 활용해 주세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전 세계를 관통하는 잠재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단순히 통상 이슈를 넘어 기업의 재무 계획 전반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보호무역 주의의 대두에 따른 공급망 경색 등은 이미 눈앞에 다가온 위험이며, 90일 유예된 상호관세가 현실화된다면, 관세·환율·원자재·물류비용 전반에서 급격한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제조업과 수출의 비중이 높은 아시아 전반에는 더 큰 경제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FP&A를 수행하는 재무팀이라면, 이러한 이슈는 그냥 넘겨 보낼 수 없을 텐데요. 외부 환경 리스크에 대비해 재무팀이 체크해야 할 항목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상호관세 정책으로 인해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항목들
상호관세는 '관세 리스크'만으로도 부담이 되지만, 단순히 '세금'을 더 부과하는 문제로만 끝나지 않습니다. 관세 상승으로 인해 유통과 공급망의 경로 변경으로 인한 다양한 가격 상승 요인, 재고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얽혀있어 기업의 실적과 수익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아래 업종에 해당한다면, 당면한 문제에 대비해야 하는데요.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제조업
해외 부품/설비 조달 비중이 높은 전기전자·자동차 부품 업종
물류 의존도가 높은 소비재 및 유통 산업
아래 리스크로 인해 생산과 판매, 모두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상호관세 정책에 영향을 받는 항목과 실제 사례
리스크 항목 | 설명 | 사례 | 출처 |
---|---|---|---|
관세비용 증가 | 수입 원자재·부품 단가 상승 →매출총이익률 하락 | 2025년 4월, 미국이 인도·베트남산 일부 전자제품에 최대 46% 관세 부과 예고. Apple은 미국 내 관세 회피 위해 인도 생산 iPhone 조기 출하 시도. | |
환율 리스크 |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원자재 원가 상승 or 제품 수출 단가 하락→ 수익 예측에 불확실성 증가 | 2023년 3분기, 삼성전자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반도체 부문 수익성 하락을 실적 발표에서 명시. 원화 강세로 인해 해외 매출의 환산 손실 발생. | The Economic Times, Samsung says Q3 operating profits soar to $6.6 bn, but misses forecast |
원자재 가격 변동 | 보호무역 → 공급국 축소 → 희귀 금속/소재 가격 급등 | 2023~2024년, 리튬 수요 급증(27%↑) + 공급 병목 → 가격 급등락 반복. 주요 배터리 기업들 원재료 조달선 다변화 시도 중. | |
물류비용 증가 | 관세 회피를 위한 우회 경로 확보 → 운송비 증가 | 미중 무역분쟁 이후, 중국 → 베트남/멕시코 생산지 이동 증가. 일부 기업은 관세 우회 목적으로 수출 경로 우회 | |
과잉재고 리스크 | 리스크 선제 대응 차원의 조기조달 → 재고 회전율 하락 | 2023년,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부품 선조달 확산 → 장비 시장 수요보다 부품 재고가 더 빠르게 쌓이는 이례적 현상 발생. 수급 흐름 왜곡 사례로 주목. | YOLE Group, Semiconductor subsystems: the market decouples from equipment on inventory backlog |
2. FP&A 관점에서 재무팀이 준비해야 할 재무 대응 항목
실제 상호관세에 대한 리스크는 정치적, 경제적 역학 관계가 얽혀있어 쉽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리스크를 예측하기 어렵더라도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시나리오와 수치를 준비하는 것이 재무팀의 역할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시나리오 예시: 환율·관세 동시 상승 시
가정 조건 | Worst Case 비용 영향 |
---|---|
|
|
해당 시나리오는 실제로 미국이 제시했던 관세율과 최근 원화 가치의 변동을 보면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기도 합니다. 재무팀은 이런 수치적 시나리오를 통해 자금 계획 수립, 투자 조정, 리스크 커버리지 범위 설정이 필요하며, 실제 대응을 위한 핵심 준비 항목은 좀 더 복잡합니다.
*재무 리스크 대응을 위한 핵심 준비 항목 (실행안)
준비 항목 | 실무 설명 | 연결 전략 |
---|---|---|
시나리오 손익 예측 | 환율/관세 변화 → Best/Base/Worst 구분 | 제품 원가율, 판관비율 등의 재계산 |
고정비/변동비 민감도 분석 | 비용구조별 손익 영향도 파악 | 원가 구조 리밸런싱 |
현금흐름 시나리오별 리프레시 | 단기 유동성 확보 및 자금 계획 | ERP 연동형 Cash Flow 예측 |
KPI 리밸런싱 | ROIC → EBITDA Margin / 부채비율 중심으로 전환 | 목표 관리 방식 수정 |
공급망 변경 손익 영향 분석 | 지역 전환 시 납기/품질/비용 분석 | 재무 시뮬레이션 기반 의사결정 |
3. 상호관세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해서 우리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아래는 재무팀이 놓치기 쉬운 핵심 점검 항목입니다. 커지는 불확실성 속에서는 놓치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체크리스트
✅ 최근 관세/환율/원자재 가격 동향 실시간 모니터링 중인가?
✅ 시나리오별 손익 추정을 3단계로 구성해 본 적이 있는가?
✅ 고정비/변동비 구조에 따른 수익성 민감도를 분석했는가?
✅ 현금흐름 예측은 최근 외부 변수(환율/물류비) 반영되어 있는가?
✅ KPI는 성장 중심에서 안정성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가?
✅ 공급망 변경 시 발생 가능한 손익 영향(원가, 리드타임, 납기)을 시뮬레이션했는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잠재적 리크스"지만, 어느 쪽으로 갑자기 변할지 모르는 "거대 리스크"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든 리스크에 완벽히 대응할 수는 없지만, 예측이 가능한 시나리오에는 대비하고, 시물레이션을 진행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외부 변수에 따른 재무 예측이 필요하다면, fp&a의 실현을 위한 솔루션, 파이넥스를 활용해 주세요.
finex 아티클 구독하기
엄선하여 큐레이팅한 다양한 재무관리 아티클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1000+ others subscribed
SNS 공유하기
SNS 공유하기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1000+ others subscribed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