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A 5

FP&A 5

현업에서 FP&A팀이 꼭 답해야 할 5가지 핵심 재무 질문으로 관리회계의 역할과 문제 해결 방법을 이해해보세요.

현업에서 FP&A팀이 꼭 답해야 할 5가지 핵심 재무 질문으로 관리회계의 역할과 문제 해결 방법을 이해해보세요.

2025년 7월 23일

2025년 7월 23일

|

4

min read

min read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5가지 재무 질문 대표 이미지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5가지 재무 질문 대표 이미지

FP&A팀과 기존 회계·재무팀의 역할은 실무에서 종종 모호하게 느껴집니다.

특히 숫자에 익숙하지 않다면, “결국 숫자 다루는 건 다 똑같은 일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죠.


이번 글에서는 FP&A 담당자가 실제 업무 중 마주하게 되는 다섯 가지 핵심 질문을 통해, 전통 회계·재무팀이 놓치기 쉬운 지표와 분석 관점, 그리고 FP&A팀이 관리회계의 시선으로 이 질문들에 어떻게 답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Q1. “지금 이익이 나고 있다는데, 진짜 현금은 정확히 얼마나 남고 있지?”

FP&A팀에게 가장 많이 요구되는 역할 중 하나는 바로 ‘현금흐름에 대한 통제와 해석’입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손익계산서상의 이익 보고에 집중

  • 현금흐름과 수익성의 차이까지는 해석하기 어려움


즉, ‘사후 보고’에 가까워 현금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거나 설명하는 역할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반면, FP&A팀은

  • 영업현금흐름, EBITDA 등 실질적인 현금 창출력을 분석하고

  • ROIC, ROE 등 자본 효율성까지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단순히 잔고를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회사의 자금 구조와 성장 여력을 통제하는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이 요구됩니다.


'현금 흐름 관리'에 대한 사례가 궁금하시다면, 파이넥스의 이전 아티클을 읽어보세요.

🔗 [회사는 적자로 망하지 않는다. 미수금으로 망한다.]


🗣️ Q2. “이번 달 A사업부 KPI(영업이익) 달성률 안 좋은데, 어디서부터 잘못된 거야?”

FP&A팀은 단순히 수치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성과 지표의 흐름과 그 원인을 파악해, 조직이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팀입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예산 대비 지출 중심의 정산 보고에 집중

  • KPI나 손익 변동의 원인을 해석하거나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그래서 FP&A팀은?

  • KPI 달성률 변화의 원인을 손익 구조와 연결해 분석하고

  • 매출, 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손익에 영향을 주는 항목들을 기준으로 드릴다운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위의 질문에 FP&A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매출은 전월과 유사했지만, 인건비와 물류비가 동시에 증가했고, 할인 판매 비중이 높아지면서 매출총이익률이 하락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전월 대비 3.2%p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달에는 판관비 예산을 조정하고, 고정비 성격의 인건비에 대한 추가 투입은 보류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수치의 흐름과 원인을 재무적 맥락에서 구조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FP&A팀의 실질적인 역할입니다.


🗣️Q3.“우리 지금 이 지출 반영하면, 적자 나는 거 아니야?”

FP&A팀은 지출의 발생 여부보다, 그 지출이 손익에 어떤 시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발생한 지출을 정확히 기록하고 분류함

  • 하지만 그 지출이 미래 손익에 어떻게 반영될지를 예측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음


반면, FP&A팀은?

  • 지출 시점에 따른 손익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 해당 지출이 일회성인지, 반복성인지, 자산화 가능한 항목인지를 구분해

  • 향후 수익성에 미칠 파급효과를 판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런 질문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번 달에 소프트웨어 도입비 2억 반영하면 이번 분기 적자 아니야? 투자받아야 되는데 적자는 악영향이야”


이때 FP&A는 이렇게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출은 2억이지만, 회계상 3년에 걸쳐 감가상각 처리되기 때문에 이번 분기에는 약 1,600만 원만 비용으로 반영됩니다. 따라서 이번 분기 손익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이처럼 지출의 실질적 영향력을 손익 구조 내에서 재구성해 설명하고,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는 팀입니다.


🗣️Q4. “저 팀 마케팅비랑 인건비 계속 느는데, 성과 대비 괜찮은 거야?”

FP&A팀은 비용이 ‘얼마냐’보다 그 비용이 성과로 얼마나 연결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회계팀은 비용을 계정과목 중심으로 보고하므로 지출과 성과 간의 인과 관계(KPI 연계 분석)는 구조적으로 어렵습니다.

  • 결과적으로 부서별 성과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거나 ROI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FP&A팀은?

  • 부서별 투입 대비 성과(ROI)를 수치로 보여주고

  • 증가한 비용이 매출, 이익, 성장률 등 어떤 성과에 기여했는지를 정량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질문이 들어왔을 때, FP&A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당 팀의 비용은 +2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 기여도는 여전히 부서 평균인 9.8%를 상회하는 12.5%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비용 증가가 성과 저하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성장 곡선이 꺾일 경우를 대비해 향후 인건비 비중 조정 시나리오도 함께 준비해 뒀습니다.”


이처럼 비용과 성과의 연결성을 수치로 설명하고, 시나리오까지 제시하는 것, 그게 바로 FP&A가 조직의 자원 배분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 Q5. “우리 회사가 다른 업체보다 고정비 너무 높은 거 아니야?”

FP&A팀은 내부 수치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동종 업종 또는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비용 구조의 전략적 타당성을 점검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회계팀은 외부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는 기능은 통상 갖고 있지 않으며, 자사 기준의 정산과 규정 중심 보고에 집중합니다.

  • 따라서 업종 평균이나 경쟁사 대비 구조 진단 같은 ‘상대적 시각’의 분석은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FP&A팀은?

  • 원가율, 고정비·변동비 비중, 인건비 비율 등 핵심 구조 항목을

  • 동종 업계 평균 또는 주요 경쟁사와 비교해

  • 우리 회사의 비용 구조가 시장 내에서 경쟁력이 있는지 진단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이런 업무가 외부 컨설팅사 몫이었다면, 이제는 내부 FP&A팀이 경영진에게 직접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 고정비 비중은 38%로, 유사 업종 평균인 33%보다 다소 높은 편입니다. 특히 인건비와 감가상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매출 규모 대비 판관비 효율은 업계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정비 부담 완화를 위해 상반기에는 외주 비중 확대와 일부 비용 탄력화 전략을 병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외부 환경과 내부 구조를 모두 연결해, 실질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만약 위의 질문들에 모두 답할 수 있으시다면, 소속이 회계팀이든 재무팀이든 이미 훌륭하게 FP&A 역할을 수행하고 계신 겁니다.


하지만 이 질문들 앞에서 막막함을 느끼시거나 “우리 회사에서는 구조적으로 이런 분석이 어렵다”는 생각이 드셨다면, 이제는 방법을 바꿔야 할 때입니다.


파이넥스(finex)는 ERP 원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핵심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재무 솔루션입니다.


✅현금흐름 분석 - EBITDA, 영업현금흐름, 자금월보 등 실질 자금흐름 자동 분석

✅KPI 분석 - 주요 지표에 대한 성과리포트 자동 생성

✅KPI 예산 수립(시뮬레이션 기능) - 계획수립 및 예산안 구성 지원

✅KPI 차이분석 - 추정 손익계산서 및 재무상태표 자동 생성으로 원인 파악

✅KPI 예산관리(성과 추적) - KPI 기준 달성률 확인 및 예산 관리 기능 제공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핵심 질문-에 정확하게 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기존의 구조적 한계와 리소스 부족에 대한 문제를 파이넥스와 함께 해결하세요.

FP&A팀과 기존 회계·재무팀의 역할은 실무에서 종종 모호하게 느껴집니다.

특히 숫자에 익숙하지 않다면, “결국 숫자 다루는 건 다 똑같은 일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죠.


이번 글에서는 FP&A 담당자가 실제 업무 중 마주하게 되는 다섯 가지 핵심 질문을 통해, 전통 회계·재무팀이 놓치기 쉬운 지표와 분석 관점, 그리고 FP&A팀이 관리회계의 시선으로 이 질문들에 어떻게 답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Q1. “지금 이익이 나고 있다는데, 진짜 현금은 정확히 얼마나 남고 있지?”

FP&A팀에게 가장 많이 요구되는 역할 중 하나는 바로 ‘현금흐름에 대한 통제와 해석’입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손익계산서상의 이익 보고에 집중

  • 현금흐름과 수익성의 차이까지는 해석하기 어려움


즉, ‘사후 보고’에 가까워 현금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거나 설명하는 역할과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반면, FP&A팀은

  • 영업현금흐름, EBITDA 등 실질적인 현금 창출력을 분석하고

  • ROIC, ROE 등 자본 효율성까지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단순히 잔고를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회사의 자금 구조와 성장 여력을 통제하는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이 요구됩니다.


'현금 흐름 관리'에 대한 사례가 궁금하시다면, 파이넥스의 이전 아티클을 읽어보세요.

🔗 [회사는 적자로 망하지 않는다. 미수금으로 망한다.]


🗣️ Q2. “이번 달 A사업부 KPI(영업이익) 달성률 안 좋은데, 어디서부터 잘못된 거야?”

FP&A팀은 단순히 수치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성과 지표의 흐름과 그 원인을 파악해, 조직이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팀입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예산 대비 지출 중심의 정산 보고에 집중

  • KPI나 손익 변동의 원인을 해석하거나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그래서 FP&A팀은?

  • KPI 달성률 변화의 원인을 손익 구조와 연결해 분석하고

  • 매출, 원가, 판관비, 인건비 등 손익에 영향을 주는 항목들을 기준으로 드릴다운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위의 질문에 FP&A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매출은 전월과 유사했지만, 인건비와 물류비가 동시에 증가했고, 할인 판매 비중이 높아지면서 매출총이익률이 하락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전월 대비 3.2%p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 달에는 판관비 예산을 조정하고, 고정비 성격의 인건비에 대한 추가 투입은 보류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수치의 흐름과 원인을 재무적 맥락에서 구조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FP&A팀의 실질적인 역할입니다.


🗣️Q3.“우리 지금 이 지출 반영하면, 적자 나는 거 아니야?”

FP&A팀은 지출의 발생 여부보다, 그 지출이 손익에 어떤 시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발생한 지출을 정확히 기록하고 분류함

  • 하지만 그 지출이 미래 손익에 어떻게 반영될지를 예측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음


반면, FP&A팀은?

  • 지출 시점에 따른 손익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 해당 지출이 일회성인지, 반복성인지, 자산화 가능한 항목인지를 구분해

  • 향후 수익성에 미칠 파급효과를 판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런 질문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번 달에 소프트웨어 도입비 2억 반영하면 이번 분기 적자 아니야? 투자받아야 되는데 적자는 악영향이야”


이때 FP&A는 이렇게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지출은 2억이지만, 회계상 3년에 걸쳐 감가상각 처리되기 때문에 이번 분기에는 약 1,600만 원만 비용으로 반영됩니다. 따라서 이번 분기 손익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이처럼 지출의 실질적 영향력을 손익 구조 내에서 재구성해 설명하고,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는 팀입니다.


🗣️Q4. “저 팀 마케팅비랑 인건비 계속 느는데, 성과 대비 괜찮은 거야?”

FP&A팀은 비용이 ‘얼마냐’보다 그 비용이 성과로 얼마나 연결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회계팀은 비용을 계정과목 중심으로 보고하므로 지출과 성과 간의 인과 관계(KPI 연계 분석)는 구조적으로 어렵습니다.

  • 결과적으로 부서별 성과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거나 ROI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FP&A팀은?

  • 부서별 투입 대비 성과(ROI)를 수치로 보여주고

  • 증가한 비용이 매출, 이익, 성장률 등 어떤 성과에 기여했는지를 정량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질문이 들어왔을 때, FP&A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당 팀의 비용은 +2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 기여도는 여전히 부서 평균인 9.8%를 상회하는 12.5%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비용 증가가 성과 저하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성장 곡선이 꺾일 경우를 대비해 향후 인건비 비중 조정 시나리오도 함께 준비해 뒀습니다.”


이처럼 비용과 성과의 연결성을 수치로 설명하고, 시나리오까지 제시하는 것, 그게 바로 FP&A가 조직의 자원 배분을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 Q5. “우리 회사가 다른 업체보다 고정비 너무 높은 거 아니야?”

FP&A팀은 내부 수치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동종 업종 또는 경쟁사와의 비교를 통해 비용 구조의 전략적 타당성을 점검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회계팀은?

  • 회계팀은 외부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는 기능은 통상 갖고 있지 않으며, 자사 기준의 정산과 규정 중심 보고에 집중합니다.

  • 따라서 업종 평균이나 경쟁사 대비 구조 진단 같은 ‘상대적 시각’의 분석은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FP&A팀은?

  • 원가율, 고정비·변동비 비중, 인건비 비율 등 핵심 구조 항목을

  • 동종 업계 평균 또는 주요 경쟁사와 비교해

  • 우리 회사의 비용 구조가 시장 내에서 경쟁력이 있는지 진단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이런 업무가 외부 컨설팅사 몫이었다면, 이제는 내부 FP&A팀이 경영진에게 직접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 고정비 비중은 38%로, 유사 업종 평균인 33%보다 다소 높은 편입니다. 특히 인건비와 감가상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매출 규모 대비 판관비 효율은 업계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정비 부담 완화를 위해 상반기에는 외주 비중 확대와 일부 비용 탄력화 전략을 병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외부 환경과 내부 구조를 모두 연결해, 실질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만약 위의 질문들에 모두 답할 수 있으시다면, 소속이 회계팀이든 재무팀이든 이미 훌륭하게 FP&A 역할을 수행하고 계신 겁니다.


하지만 이 질문들 앞에서 막막함을 느끼시거나 “우리 회사에서는 구조적으로 이런 분석이 어렵다”는 생각이 드셨다면, 이제는 방법을 바꿔야 할 때입니다.


파이넥스(finex)는 ERP 원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핵심 질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AI 기반 재무 솔루션입니다.


✅현금흐름 분석 - EBITDA, 영업현금흐름, 자금월보 등 실질 자금흐름 자동 분석

✅KPI 분석 - 주요 지표에 대한 성과리포트 자동 생성

✅KPI 예산 수립(시뮬레이션 기능) - 계획수립 및 예산안 구성 지원

✅KPI 차이분석 - 추정 손익계산서 및 재무상태표 자동 생성으로 원인 파악

✅KPI 예산관리(성과 추적) - KPI 기준 달성률 확인 및 예산 관리 기능 제공

FP&A팀이 반드시 답해야 할 핵심 질문-에 정확하게 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기존의 구조적 한계와 리소스 부족에 대한 문제를 파이넥스와 함께 해결하세요.

finex 아티클 구독하기

엄선하여 큐레이팅한 다양한 재무관리 아티클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1000+ others subscribed

SNS 공유하기

SNS 공유하기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1000+ others subscribed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사용하시는 이메일 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picture for subscribing artivle

재무관리 큐레이팅 아티클 구독하기

finex가 회계, 재무, 경영, 관리회계 등 기업 의사결정에 필요한 아티클을 엄선하여 공유합니다.

사용하시는 이메일 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picture for subscribing artivle
finex logo

Financial Data Empowering Every Business Stakeholder

아티클 구독 이메일주소

1000+ others subscribed

상호명 아이씨 주식회사
사업자등록번호 331-81-02537
대표자명 이봄
이메일 ask@aicy.ai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2-성남분당A-1007
사업장주소 서울 강남구 역삼동 827-26, 4층
전화번호 02-575-8825

finex© 2025. Designed by AICY Corporation